본문 바로가기
재활(Rehabilitation)/성인 상지 기능 (Gross & Fine motor)

손 (HAND)의 해부학

by 알피쌤 2022. 5. 18.
반응형

✅ 정의

은 일하고, 놀고, 작업을 유지하고 스스로 수행하는데 가장 자주 사용하는 도구라고 Exner가 정의 

⭕손은 눈과 유사하게, 주변 환경을 인지하는 매우 중요한 감각기이고, 아주 복잡한 운동행위들을 위한 일차적인 효과기관이기도 하며, 손의 몸짓, 접촉, 기교 그리고 기술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합니다. 손은 매우 복잡한 손의 생체역학 떄문에, 손의 기능을 담당하는 대뇌겉질에서도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9 근육이 손에 있는 19개의 뼈들과 19개의 관절을 움직여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 내고 다양한 도구 사용, 복잡한 조작에도 용이합니다 하지만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뇌졸중 신경손상에 의해 완전한 기능을 못할 경우 팔 전체의 전반적인 기능을 감소시킵니다

 

✅ 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Internal environmental system

-Visual skills

-Somatosensory functions

-Support & Protection

-Sensory integration

-Visual perception & cognition

-ROM, strength, tone

 

External environmental system

-Family systems

-Social systems

-Educationsystems

-Transport systems

-Economic systems

 

✅ 손에 관한 신경이 지배하는 근육

⭕radial nerve (노신경)

➡ finger extension muscle에 관여 

⭕ulnar nerve (자신경)

➡ 손의 내재성근육에 관여

⭕median nerve (정중신경)

➡ finger flexion muscle에 관여 

✅ 해부학적 구조 - 뼈

Carpal bone

-움직임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움직임 중에 Wrist flexion, extension의 축이 되는 것은 capitate.

-이것은 제3 metacapalcapitatehead를 통과하며 내.외측방향으로 움직이며 Carpal bonestability를 제공하게 된다

-Wrist ulnar deviation, radial deviation의 축이 되는 것은 capitate 기저부를 통과하며 회전한다

-Carpal bone은 동시에 radiocarpal joint, metacarpal joint가 운동하여 double joint system이라고 한다.

metacarpals (손허리뼈)

-1 손허리뼈는 가장 짧고 가장 튼튼하다.

-2 손허리뼈는 일반적으로 가장 길며, radial에서 ulnar 방향으로 놓여 있는 나머지 3개의 손허리뼈 길이는 제2손허리뼈보다는 점점 작아진다

-손허리뼈는 긴골저부를 갖고 있으며, 골간부의 양말단부에는 관절면이 있으며 장축으로 약간 오목한 형태를 하고 있다.

-엄지 손허리뼈는 다른 손가락과는 다른 운동면을 향하고 있다.

-위치는 다른 손가락에 비해 약 90도 정도 내측으로 회전되어 있다.

⭕ phalanges (손가락뼈)

- 4개의 손가락뼈, 각 손가락마다 proximal / middle / distal 손가락뼈를 가지고 있고 엄지는 middle 이 없다

 

✅ 해부학적 구조 - 활

⭕Arches(손의 활들)

-손을 이완했을때 손바닥 표면에서 관찰되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물체를 단단하게 잡고 있거나 조작하는데 필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며, proxial / distal transverse arch (몸쪽/ 먼쪽 가로활), Longitudinal(세로활)로 구성

-Proximal transverse archcaparl tunnerl을 형성하는 정적이고 단단한 활이다. 손에있는 활들도 중심의 쐐기돌 (keystone) 구조에 의해 지지된다. Capitate(알머리뼈)몸쪽가록활에 있어 keystone 역할을 하며 다른 뼈들과의 다양한 접촉과 강한 손목뼈사이인대에 의해 강화된다.

-Distal transverse archMCP 관절들을 지나간다. Proximal 은 단단함을 가지고 있다면 distal은 양 옆면은 가동성이 있음. 예를 들어 손으로 공을 잡는다고 생각하면 distal쪽의 끝쪽은 가동성이 있어 안으로 좀더 말리는 것을 알수있음

-Longitudinal arch는 둘째와 셋쨰손가락선의 일반적인 외형에 의해 형성된 되어 있으며 몸쪽 끝부위는 CMC 관절에 의해 손목뼈예 단단히 연결된다.

✅ 해부학적 구조 - 관절

CMC joint

-wrist distal 쪽과 capal bones 사이의 관절로 형성

-2,3번째 CMC JOINT는 안정된 중심기둥역활을 1,4,5 CMC JOINT는 가동성 역할

-5가지 움직임 : flexion, extensrion, Abduction, Adduction, opposition 

-특히 ANTERIOR OBLIQUE LIGAMENT의 파열은 관절의 노쪽 탈구를 초래함

 

⭕MP joint

-metacarpal bone과 phalanges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큰 관절들

-Abduction / Adduction / Flexion / Extension 움직임

-flexion, extension 의 범위는 둘째에서 다섯째 손가락으로 갈수록 증가함 둘째는 90도 다섯째 110

-abduction / adduction은 셋째 손혀리뼈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약 20도 정도

 

⭕IP joint

-MCP 관절의 먼쪽에 위치 DIP(먼쪽손가락뼈사이)/ PIP(몸쪽손가락뼈)구성되으며 움직임으로 Flexion, extension

-PIP flexion은 100~120/ DIP flexion은 70~90도 / thumb IP flexion은 70

✅ 해부학적 구조 - 근육

⭕외재성 근육

-flexor pollicis lognus (긴엄지굽힘근) : 1st IP flexion

-flexor digitorum profundus (깊은손가락굽힘근) : 2~5th IP flexion

-flexor digitorum superficalis (얕은 손가락 굽힘근) : 2~5th PIP flexion, hand extion시 wrist flexion관여

-flexor carpi radialis (노쪽 손가락 굽힘근) : wrist flexion, radial devication, pronation 보조

-flexor carpi ulnaris (자쪽 손가락 굽힘근) : wrist flexion, ulnar devication, wrist 안정화

-palmaris longus (긴 손바닥 근) : wrist flexion

-extensor pollicis longus (긴 엄지 폄근) : 1st finger extension

-extensor pollicis brevis (짧은 엄지 폄근) : 1st finger extension


-extensor pollicis longus : 1st IP extension

-abductor pollicis longus (긴 엄지 벌림근) : 1st finger extension, rotation 보조

-extensor digitorum (손가락 폄근) : 2-5th MP extension, finger flexion시 wrist extension

-extensor indicis (집게 폄근) : 2th finger extension & adduction, wrist extension 보조, IP만 flexion 될 수 있도록 MP 안정화

-extensor digitorum minimi (새끼폄근) : 5th MP extension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긴 노쪽 손목 폄근) : wrist extension, radial deviation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짧은 노쪽 손목 폄근) : wrist extension, radial deviation

-extensor carpi ulnaris (자쪽 손목 폄근) : wrist extension, ulnar deviation

 

⭕내재성 근육

-flexor pollicis brevis (짧은 엄지 굽힘근) : thumb MP flexion

-abductor pollicis brevis (짧은 엄지 벌림근) : thumb abduction, flexion&extension보조

-flexor digiti minimi brevis (짧은 새끼 굽힘근) : 5th finger flexion

-abductor digiti minimi (새끼 벌림근) : 5th finger abduction, flexion&extension 보조

-opponeus pollicis (엄지 맞섬근) : thumb opposition ➡medial nerve 손상시 수행불가

-oppenens digiti minimi (새끼 맞섬근) : 5th finger opposition

-palmaris brevis (짧은 손바닥근) : 손을 더 오므리게 함

-adductor pollicis (엄지 모음근) : thumb adduction, flexion보조

-lumbricals (벌레근) : finger MP flexion, PIP&DIP extension

-dorsal interossei (등쪽 뼈 사이근) : 2-5th finger abduction, lumbricals 보조

-palmar interossei (바닥쪽 뼈 사이근) : 2,4,5th finger adduction, lumbricals 보조

 

*reference : 구글 검색, 뉴만 신경해부학, 위키백과, 운동학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