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wallowingdisorder2

연하치료 증상 별 치료법 PART 1 🔳 oral preparatory phase & oral phase 증상 별 치료 Ÿ 입을 벌리고 있음 (Decreased lip sealing) : 입둘레근근육 강화 (oricularis oris muscle 강화) Ÿ 볼이나 얼굴마비 (Bucci-facial paresis / paralysis) : 볼근육 / 얼굴근육 움직임 증진 (buccinator & facial M. exercise) Ÿ 침흘림 (drooling) : 감각 자극-차가운막대기나 진동기계등을 이용해 입술을 자극 (sensorial stimulation -rood approach) Ÿ 음식물이 잇몸사이에 고여있을때 (pocketing) : 혀움직임 운동 (tongue movement exercise) / 입술과 볼의 근력강화 (lip.. 2023. 4. 7.
정상삼킴단계 🔳 구강준비단계(oral preparatory phase) 움직임 결과 입술 닫기 구강 밖으로 음식이 나오는 것을 방지함 고형 음식을 씹기 위해 혀와 턱을 옆으로 움직이고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됨 깨물기 위해 치아 사이에 고형음식을 넣고, 침이 섞인 시기에 음식을 합쳐 씹음 Boulus가 혀의 앞쪽 구강 바닥 부위에 머물러 있음 응집력 있는 액체 bolus를 유지함 bolus가 준비되어 삼켜지기 직전 혀의 앞쪽에 유지되며 hard palate나 혀의 앞쪽에 컵 모양으로 유지됨 bolus가 결합되어 삼켜질 준비가 됨 🔳 구강단계(oral phase) 움직임 결과 혀는 점차적으로 앞에서 뒤로 움직임 구강 앞쪽에서 뒤쪽으로 음식이 이동함 혀의 중앙에 고랑이 만들어짐 음식의 혀의 움직임에 따라 안내됨 음식이 아래.. 2023.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