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6

연하치료 증상 별 치료법 PART 2 🔳 pharyngeal phase & esophageal Phase 증상 별 치료 Ÿ 코로 역류 : 물렁입천장근육 (soft palate) strength : 삼킴 시 코막기 / 코막고 빨대불기, 코막고 휴지불기 등 혀 바닥부 (tongue base) strength : 혀바닥부 (tongue base)에 감각자극 제공 / 가글 / 소리내기 [크, 카, 커] Ÿ 삼킴 시작 지연 : 혀 (tongue) movement increase : 삼킴 시 조금씩 먹고 자세유지 (chintuck) / 혀 운동 삼킴반사 (swallowing reflex) 자극 : 삼킴 시 점성이 있는 음식이나 신음식을 섭취하거나 턱 내릭 (chintuck) / TTS Ÿ 삼킴 중 기침 : 후두덮개 (epiglottic folding).. 2023. 7. 26.
연하치료 증상 별 치료법 PART 1 🔳 oral preparatory phase & oral phase 증상 별 치료 Ÿ 입을 벌리고 있음 (Decreased lip sealing) : 입둘레근근육 강화 (oricularis oris muscle 강화) Ÿ 볼이나 얼굴마비 (Bucci-facial paresis / paralysis) : 볼근육 / 얼굴근육 움직임 증진 (buccinator & facial M. exercise) Ÿ 침흘림 (drooling) : 감각 자극-차가운막대기나 진동기계등을 이용해 입술을 자극 (sensorial stimulation -rood approach) Ÿ 음식물이 잇몸사이에 고여있을때 (pocketing) : 혀움직임 운동 (tongue movement exercise) / 입술과 볼의 근력강화 (lip.. 2023. 4. 7.
정상삼킴단계 🔳 구강준비단계(oral preparatory phase) 움직임 결과 입술 닫기 구강 밖으로 음식이 나오는 것을 방지함 고형 음식을 씹기 위해 혀와 턱을 옆으로 움직이고 회전시키는 것이 요구됨 깨물기 위해 치아 사이에 고형음식을 넣고, 침이 섞인 시기에 음식을 합쳐 씹음 Boulus가 혀의 앞쪽 구강 바닥 부위에 머물러 있음 응집력 있는 액체 bolus를 유지함 bolus가 준비되어 삼켜지기 직전 혀의 앞쪽에 유지되며 hard palate나 혀의 앞쪽에 컵 모양으로 유지됨 bolus가 결합되어 삼켜질 준비가 됨 🔳 구강단계(oral phase) 움직임 결과 혀는 점차적으로 앞에서 뒤로 움직임 구강 앞쪽에서 뒤쪽으로 음식이 이동함 혀의 중앙에 고랑이 만들어짐 음식의 혀의 움직임에 따라 안내됨 음식이 아래.. 2023. 4. 4.
치매증상 및 종류 🔳 치매란? ◼ 다발성 인지기능의 장애로 기억력이 떨어진 것이 가장 중요한 증상이지만 이것 뿐 아니라 말을 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감각장애. 성격변화가 생기고. 계산능력이 떨어져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지장을 일으키는 상태 🔳 건망증과 치매의 차이 건망증 치매 정상 노화과정 진행성, 퇴행성 뇌질환 어떤 사실을 잊어버려도 누가 귀띔을 해주거나 힌트를 주면 금방 기억해 낼 수 있음 귓띔을 해주거나 힌트를 주어도 기억을 하지못함 과거 기억에 비해 최근 기억이 현저히 나빠짐 🔳 원인 ◼ 전체 치매의 원인들 중 퇴행성 질환이나 혈관성 치매가 85% 정도를 차지. ◼ 신경 퇴행성 치매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은 건강하던 뇌세포들이 손상되어 뇌가 서.. 2022.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