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Rehabilitation)/성인 상지 기능 (Gross & Fine motor)

바닥핵 (BASAL GANGLIA)

by 알피쌤 2022. 3. 30.
반응형

✅바닥핵 장애의 특징

바닥핵 장애의 특징은 움직임의 시작. 지속. 정지가 어렵고, 근육의 긴장이 일어나며, 무의식 상태에서의 부적절한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꼬리핵과 조가비핵의 병변이 있을 경우 나타나는 무도병(chorea)이나, 꼬리핵과 조가비핵의 작용이 억제되어 나타나는 헌팅톤무도병(Huntington’s chorea)이나, 창백핵, 배쪽시상, 적색핵, 중간뇌뒤판의 병변에 의해 나타나는 느린비틀림운동(athtosis), 꼬리핵, 조가비핵, 창백핵, 중심앞이랑의 변변에 의해 나타나는 반쪽무도병(hemiballismus), 꼬리핵, 조가비핵에 의해 나타나는 근긴장이상증(dystonia), 흑색질의 색소성 신경세포의 소실로 인한 줄무늬체에서의 도파민 결핍이 원인인 파킨슨병(parkinsonism), 줄무늬체의 장애가 있을 경우 나타나는 틱(tics) 등이 나타난다.

 

✅불수의적 움직임 (involuntary movement)

⭕휴식시 떨림 (resting tremor)

⭕무정위운동증 (athetosis)

 

⭕무도병 (chorea)

 

 

⭕도리깨질증(ballism)

 

 

 

⭕운동느림증(bradykinesia)

 

 

⭕운동불능증(akinesia)

⭕운동감소증(hypokinesia)

 

✅근육긴장이상(dystonia)

⭕강직(spasticity)

수동운동에 대한 저항이 한방향이다. 움직이는 운동 속도에 따라 저항의 정도가 달라지는데, 빠르게 움직이면 근육 긴장이 증가, 느리게 움직이면 근육 긴장이 감소한다. 깊은 힘줄 반사(deep tendon relex, DTR)이 항진되고 접칼반응이 나타나난다.

 

⭕경직(rigidity)

수동 운동에 대한 저항이 양방향이다. 수동 운동 속도와 상관없이 일정한 저항을 보인다. 깊은 힘줄 반사(deep tendoen reflex, DTR)는 정상이며, 일정한 속도의 저항이 나타난다.

 

⭕과긴장증(hypertonia)

근육긴장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말하며, 능동적 또는 수동적 움직임에 대해 저항이 증가되었다.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 UMN)의 장애가 원인이다

 

⭕저긴장증(hypotonia)

근육긴장의 비정상인 감소를 말하며,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 LMN)의 장애가 원인이다.

 

✅바닥핵과 관련된 질환

⭕뇌졸중 (CVA)

바닥핵과 관련된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지는 경우에 뇌졸중이 발병

 

⭕파킨슨병(Pakinson's disease)

흑색질 치밀부 신경세포의 파괴와 이에 따른 도파민 결핍으로 인해 발병한다. 도파민은 움직임을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경 회로에 윤활유 역활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불안정한 자세, 운동불능증, 휴식시 떨림, 경직의 4가지가 대표적인 증상이며 병이 더 악화되면 치매가 나타나기도 한다

⭕헌틴톤병(Huntington's disease)

줄무늬체에 있는 GABA 함유 신경세포의 파괴로 발병하며, 유전적 질환이기도 하다

대생각하고, 말하고, 움직이는 능력에 문제를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대표적인 증상으로 무도병이 있고, 병이 좀더 진행되면 치매가 나타나기도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