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 선별평가
◼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KDSQ) : 기억장애, 언어장애, 행동장애, 일상생활 수행 장애의 각각 5개로 구성, VD 감별 및 우울증에 대한 문항 포함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 인지기능의 손상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 및 선별하는 대표적 검사
*MMSE는 MMSE-K, K-MMSE, MMSE-DS 등으로 나눠짐.
◼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 : 경도인지장애(MCI)를 평가하기 위해 주의력, 실행력, 기억력, 어휘력, 시공간력, 추상력, 지남력 등의 인지기능 평가
🔳 치매 척도평가
◼ Clinical Dementia Rating Scale(CDR) : 환자, 보호자와의 자세한 면담 시행해 주로 기억력을 평가하는 5가지 단계로 구성된 검사
◼ Global Deterioration Scale(GDS) : 환자로부터 정보를 얻어 인지기능장애를 평가하는 7단계로 구분된 검사
🔳 그 외 인지평가
◼ The Allen Cognitive Level Screen(ACLS) : 인지장애의 수준을 분석하는데 선별평가도구로써 간단한 기능적 일에 사용된다. 인지장애모델은 6단계의 인지 수준으로 제안
◼ Dimensia Rating Scale(DRS) : 대뇌피질의 장애가 있는 65~81세 사이의 성인을 위한 측정 도구로 인지 상태를 빠르고 포괄적인 평가를 하는 도구
◼ Middlesex Elderly Assessment of mental State(MEAMS) : 노인의 특정한 인지 기술의 장애를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선별평가도구
◼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 인지의 다양한 영역을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 의식수준과 언어유창성 항목을 제외한 10개 항목을 점수화하여 평가하는 도구
◼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 : 지남력, 지각기능, 시각운동 조직력, 사고 조작력 영역의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총 4영역 20개 하위항목
*LOTCA-G, LOTCA-D 등 다른버전이 존재
🔳 재활치료 -기억력훈련
◼ 오류배제학습(Errorless Learning) : 새로운 기술을 가르칠 때 충분한 촉진으로 처음부터 실수 없이 하도록 가르치는 법
◼ 점진적 소실 기법(Vanishing Cue Training) : 특정 작업에 필요한 정보나 일의 일부분을 단서로 사용하되 점차 줄여나가는 방법
◼ 시간차 회상 훈련(Spaced retrieval training) : 제시된 정보의 회상 간격을 점차 늘려 학습, 정보 저장을 촉진하는 기법
◼ 기억전략 훈련 (Mnemonic strategies) : 정상인에서도 기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시각적 이미지 방법을 기억장애 환자에게 기억증진의 전략으로 사용. 혈관성치매환자에게 좋은 치료법
◼ 외부 보조도구 사용 (External aids) : 기억력의 상실된 부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메모장, 녹음기, 알람시계, 녹음기, 소형 컴퓨터 등 보조도구를 사용토록 하는 방법
🔳 재활치료 - 그 외 훈련
◼ 기능적 훈련 : 일상생활에서 지각 기능 훈련
◼ 사회기술훈련 : 의사소통을 통해 대인관계 효율성을 향상, 스트레스나 적응상의 어려움, 가족 내 긴장이나 갈등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효과적인 치료방법
◼ 감각자극훈련 : 최상의 편안함, 이완,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
◼ 전산화 인지훈련 (Computerized cognitive rehabilitation) : 컴퓨터와 인지재활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재활
*rehacom, cotras, comcog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존재
◼ 인지훈련 프로그램 워크북 활용
인지재활 : 네이버 쇼핑
'인지재활'의 네이버쇼핑 검색 결과입니다
search.shopping.naver.com
2022.03.27 - [재활(Rehabilitation)/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 - 인지평가도구 종류
인지평가도구 종류
✅ 인지 평가 도구 ✅ MMSE, K-MOCA -MMSE는 치매의 조기발견을 위한 스크리닝 검사로 인지적 측면을 평가하는 MMSE-DS가 많이 사용되고있어요. -K-MMSE와 MMSE-K 같은 별도의 스크리닝 도구가 있기는 하지
koreaeasytherapy.tistory.com
'재활(Rehabilitation) > 성인 인지 (cogni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매증상 및 종류 (0) | 2022.07.29 |
---|---|
인지평가도구 종류 (0) | 2022.03.27 |
what is cognition? 인지란? (0) | 2022.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