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Rehabilitation)

루게릭 병 (ALS)

by 알피쌤 2022. 5. 10.
반응형

✅ 루게릭 병이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하는 질환으로 대뇌 겉질(피질)의 위운동신경세포(upper motor neuron, 상위운동신경세포)와 뇌줄기(뇌간) 및 척수의 아래운동신경세포(lower motor neuron) 모두가 점차적으로 파괴되는 특징을 보인다. 임상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weakness, 쇠약) 및 위축으로 시작하고,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 마비로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일 년에 10만 명당 약 1~2명에게서 루게릭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루게릭병은 50대 후반부터 발병이 증가하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1.4~2.5배 정도 더 발병률이 높다.

 

루게릭 병의 원인은?

루게릭병의 발병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지만 지금까지 여러 가지 가설들이 제기되고 있다. 전체 루게릭병 환자의 약 5~10%는 가족성 근육위축 가족경화증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 약 20%의 가족에서 21번 염색체에서 원인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되고 있다. 현재까지 모두 8곳의 유전자가 가족성 루게릭병을 유발한다고 보고되었다. 그 외에 유전성이 아닌 산발성 루게릭병에서는 흥분세포독성(excitotoxicity)에 의한 세포자멸사(아포토시스, apoptosis, 세포가 유전자의 제어를 받아 스스로 죽는 현상)가 중요하게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 외 특수한 바이러스가 원인이라는 가설, 환경적인 독소의 작용 등이 루게릭병의 원인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루게릭 병의 하위형태

분류 손상부분 증상
진행성 연수마비
progressive bulbar palsy
하부 뇌줄기 구조들의
운동신경핵 척수연수로
dysarthria, 연하곤란, 얼굴과 혀 근육 약화, 언어적 장애
진행성 척수근육위축증
progressive spinal
muscular atrophy
척수의 하위운동신경세포
뇌줄기가 침범되기도 함
사지근육 약화 및 근육 위축, 근육부분수축, 건반사소실
(하위운동신경세포징후가 우세)
원발성 측삭경화증
primary lateral sclerosis
대뇌피질운동신경의 침범 과다반사, 바빈스키징후, 점진적 경직성 마비
(상위운동신경세포징후가 우세)

 

루게릭 병의 증상은?

서서히 진행되는 사지의 위약(weakness, 쇠약) 및 위축으로 시작하고, 병이 진행되면서 결국 호흡근 마비로 수년 내에 사망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특히 혀근육이 부분적으로 수축하여 식사를 할 때 사레가 들리거나 기침을 하고, 흡인성 폐렴(음식물 등이 식도로 넘어가지 않고 기도로 잘못 흡인되어 야기되는 폐렴) 등이 발생하기 쉽다. 호흡곤란은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육의 위약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가로막이 약하면 누워있을 때 복강 장기의 흉강 압박을 막지 못해 호흡곤란이 심해질 수 있다. 인지기능의 장애도 일부에서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다.

 

루게릭 병의 작업치료적 평가는?

루게릭 병의 작업치료적 중재는?

보상적이고 2차적 합병증 예방, 장애에 적응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활동적이고 독립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로를 최소화한 범위에서)

 

단계 및 특징 중재
독립 1단계
약간의 근약화, 손끝의 서투름
보행 가능
ADL독립적 수행
능동관절운동 (저항운동X)
피로를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력강화운동
2단계
특정 근육에서 보통의 근약화
독립적인 ADL수행이 다소 어려워짐
구축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칭
현재의 장애를 보상할 수 있는 기술에 중점을 둠
MMT F+(3+) 이상의 근육에 근력강화 운동
short opponens splint, ankle foot orthosis(foot drop 방지)
3단계
특정 근육에서 심각한 근 약화
장거리를 걸으면쉽게 피로
심호흡운동, 흉곽스트레칭
postural draining
가정구조의 변경에 대한 논의
보행보조도구(지팡이, 워커, 휠체어), 일상생활과 가사보조도구
부분
독립
4단계
심한 하지의 약화
ADL을 수행하나 쉽게 피로를 느낌
휠체어에 의존
손의 부종, 어깨 통증
휠체어에서의 적절한 자세 유지
근연축과 통증 조절을 위한 열, 마사지 적용
부종방지, 등장성 수축운동
mobile arm supports, cock-up splint, 전동휠체어
5단계
심한 하지의 약화
중간정도의 상지 약화
휠체어에 의존한 생활
운동부족으로 인한 피부약화
피부관리법에 대한 교육
수동 관절운동
압박방지용 침대, 휠체어 쿠션 적용
환자이동을 위한 리프트
의존 6단계
의자차 생활/ 침상생활
ADL 완전 의존
심한 피로감
수동관절운동
욕창방지를 위한 피부관리 및 마사지
통증관리
흡인기
대체보완의사소통도구
반응형

'재활(Rehabilit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치료에서 사용하는 평가  (0) 2022.07.15

댓글